본문 바로가기

통일신라2

신라의 조각 신라는 세 나라 중 가장 늦게 불교를 받아들였고, 짧은 시간 내 급격하게 성행했다. 뒤늦은 수용은 당연히 먼저 존재하던 조각 양식을 모방하는 것부터 출발했기 때문에 신라 초기 조각 양식은 고구려, 백제와 흡사하다. 그러나 곧 채 6세기가 다 지나지 않아서 신라만의 독자적인 조각 기법이 생겨났으며 7세기가 시작하면 절정에 이른다. 이를 신라의 세 시기인 상대, 중대, 하대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1. 상대 제1기 527년 불교가 공인되자 신라는 고구려, 백제와 비슷한 불상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현재 남아 있는 불상이 거의 없어 시대를 반영해 가늠해보자면 대개 북위 양식에 따라 길쭉한 얼굴과 몸을 가졌고 옷자락 끝이 날카롭게 마무리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제2기 진흥왕의 활발한 정복 전쟁으로 신라의 세력이 나.. 2022. 6. 9.
백제, 신라, 통일신라와 발해의 회화 백제, 신라, 통일 신라와 발해는 앞선 고구려에 비해 발견된 작품의 수가 현저히 적고 대개 고구려와 중국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독착정으로 발전한 특성이 일치해 한 데 묵어 흐름을 따라가도 무방하다. 1. 백제의 회화 백제는 4세기 무렵 고구려를 사이에 둔 육지 대신 바다를 통해 중국과 직접적인 교류를 시작했다. 국경을 접한 고구려는 백제와 약 240년에 걸친 침략 전쟁을 계속하느라 대외적인 관계가 심하게 악화하여 오히려 중국보다 더 늦은 시기에 영향을 끼치기 시작했다. 백제의 무덤 벽화를 살펴보면 고구려 영향을 받은 듯한 사신도가 발견되어 회화의 주제가 그대로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그림에 쓰인 붓터치와 선의 느낌이 고구려보다는 훨씬 부드럽고 섬세해서 바다를 통해 더 일찍 교류했던 양나라의 영향이 .. 2022.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