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림회1 1900년대의 한국 회화, 전통 화파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한국의 전통 회화는 철저히 배제되었다. 조선 말까지 유행했던 남종화는 일본 회화의 영향을 받아 변모했고 일본을 통해 전해진 서양 회화가 주류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 특히 1921년에 조선미술전람회가 창설된 후 입상작들이 일본 심사위원의 입맛에 맞춰 그려졌기 때문에 한국 회화를 일본화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전통 회화라고 할 수 있는 미술 사조는 일제 강점기가 끝난 1950년대 들어서야 조금씩 나타날 수 있었다. 1. 1950년대 해방 후 사회적 기반을 쌓고 전통을 회복하는 데 힘써야 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6.25를 겪게 된다. 어지러운 현실 속에서 전통 회화를 살리려는 수많은 미술 단체가 생겨나고 또 없어지기를 반복한다. 한편 일부 화가는 일본 화풍을 .. 2022. 9. 11. 이전 1 다음